初唐继承和发扬了魏晋南北朝的文学传统,奠定了律诗的基础。初唐诗的特征可以从两个方面进行分析:
第一,重视形式美的流派。他们大部分以宫廷为中心,写作歌功颂德的作品。唐初宫廷诗人上官仪把六朝以来诗歌创作艺术上的对仗等手法加以程式化,形成“上官体”的风格。其后经过文章四友的实践,唐诗在形式上获得了突出的发展。最后,沈佺期,宋之问创作的诗歌对近体诗格律的最后定型产生了极其重要的影响。他们对唐代近体诗完整的形式奠定了基础。
第二,重视内容的流派。他们的主要特点是反对唯美主义诗风,努力反映社会现实,作家个性,形成了清新的格调。初唐四杰所创作的诗歌题材广泛,风格也很清新。由于他们的社会地位比较低下,因此常常抒发自己不平则鸣的慷概情怀。初唐后有个性的诗人——陈子昂。他是初唐文学革新的重要力量,提倡汉魏风格,反对过于华丽的诗风。他的诗思想内容充实,体现了诗人古朴,雄浑的风格。
总之,初唐诗对中国诗歌的发展起到极其重要的作用。因此,为了全面地了解中国诗歌,我们应该知道初唐诗地发展过程。
* 초당
초당은 당의 건국으로부터 현종 즉위 전까지의 시기를 말한다. 이 시기에는 제∙량에서 수나라에 이어지면서 발전해 온 유미주의를 계승하여 시의 형식과 시작 기교를 발전시킴으로써 당시가 크게 성행할 기초를 이룩하였다. 그리고 시의 형식미와 아름다운 표현 및 성률해화(谐和)의 추구는 마침내 새로운 시의 격률(格律)을 이룩하여 근체시를 완성시켰다 .
1. 궁정시인 : 당은 건국 후 안정을 이루어 궁정에는 수많은 대신들이 모여 양∙진의 궁체시를 계승하여 화려한 형식으로 황제의 공을 노래하고 덕을 칭송하는 시를 짓게 되었다. 이들의 작품은 주로 가공송덕(歌功颂德)의 형식적인 내용이 주를 이루었으나
근체시 형성에 과도기적 역할을 했다는 점이 인정된다.
상관의(上官仪)는 궁정시인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사람이다. 그는 아름답고 화려한 형식의 시를 지었는데 이를 상관체라고 부른다. 그의 시는 내용은 보잘 것 없으나 율시의 격률 완성을 위해서 적지 않은 공헌을 하였다.
2. 초당사걸 : 상관의와 비슷한 시기에 제∙량의 유미주의 계승하면서도 궁정시인의 무리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시작활동을 함으로써 당시 발전에 공헌한 작가로 초당사걸이 있다. 초당사걸은 왕발(王勃), 양형(杨炯), 노조린(卢照邻), 낙빈왕(骆宾王) 을 가리킨다. 그들은 새로운 정치세력을 형성하고자 노력했던 신진사대부로서 정치적인 포부와 함께 현실적인 경향을 띠고 있었다.
이들 초당사걸의 작품은 유미주의 시작기풍에서 벗어나 현실을 표현하는데 힘을 기울이고, 강건하면서도 청신한 격조를 세우는 동시에 점차 율시의 체제를 확정시키고 있다는데 그 의미가 있다.
3. 문장사우, 심전기, 송지문
1) 문장사우 : 초당 후기에 양∙진의 유미주의 시풍을 계승하면서도 궁정시인으로 율시의 완성에 적극적인 후원역할을 하였던 사람들로 문장사우(文章四友)가 있다. 문장사우란 최융(崔融), 이교(李峤), 소미도(苏味道), 두심언(杜审言)네 사람으로, 모두 대신들로서 조정에서 측천무후를 비롯한 황제의 명을 받들어 글을 짓던 사람들이다. 모두 궁정시인으로 응제의 오언율시를 많이 지었다.
2) 심전기∙송지문 : 근체시 율시의 격률은 심전기(沈佺期)와 송지문(宋之问)에 의해 완성된다. 제량시기부터 성률론을 바탕으로 구축된 율시의 격률은 상관의에게서 심화되고 초당사걸을 통해 내용이 성숙해져 간다. 이 후 궁정시인인 문장사우의 후원을 얻고 마침내 심전기, 송지문에 이르러 근체시가 완성되었다.
3) 진자앙 : 진자앙은 초당의 제∙량 궁체 시풍을 반대하고 현실적이고 기세가 뛰어난 한위풍골을 주장하여 성당의 길을 열어준 작가이다. 그는 육조 이래로 중시하여 온 시의 형식과 허식적인 면을 버리고 시에는 사상적 내용을 담고 있어야 한다고 주장하며 작가의 개성적인 생명과 감정을 내세웠다.
그의 작품에는 이상을 추구하였으나 실패하고 마는 감개를 표현한 것이 많다. 이 과정에서 궁체시의 풍격을 따르지 않고 건안시가의 전통을 직접 계승하여 시가 발전의 새로운 국면을 열었다. 대표작으로는 38편의 《感遇诗》가 있다.
'中国文学史 > 唐文学' 카테고리의 다른 글
盛唐_诗仙 李白 (성당시_이백) (0) | 2014.03.22 |
---|---|
盛唐_山水田园诗与边塞诗 (성당시_산수전원시와 변새시) (0) | 2014.03.22 |